뉴스 및 속보

대통령실은 “당 논의 지켜보겠다”: 대주주 양도세 기준 변경의 득·실 균형 분석

아이올렛 2025. 8. 4. 11:23
728x90
반응형

최근 정부가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종목당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환원하는 세제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대주주 양도세 기준 변경의 득·실 균형 분석
대주주 양도세 기준 변경의 득·실 균형 분석

이에 대통령실은 “여론이 좋지 않다고 바로 정책을 바꿀 수는 없다”며 “당내 논의를 지켜보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번 사안은 단순히 세금 기준 조정이 아니라, 조세 형평성과 시장 안정성이라는 두 가치가 충돌하는 문제입니다. 이 글에서는 찬반 논거를 균형 있게 살펴보고, 한국 현실에 맞는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각각 자기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들의 유익을 구하라.” (고린도전서 10:24)

이번 논란은 ‘누가 더 이익을 보느냐’보다 ‘어떻게 모두에게 이익이 돌아가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사안입니다. 시장 참여자와 정부가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며 합의점을 찾아야 합니다.

 

[성경공부와 해설, 적용, 묵상 08.04] 주님이 속히 오시리라 – 말씀과 함께 기다리는 믿음(요한계

마지막 시대에 대한 성경의 약속은 단순한 예언이 아니라, 성도에게 주어진 확실한 보증입니다.요한계시록의 마지막 장에서 사도 요한은 주님의 재림을 세 번이나 “속히 오리라” 하시는 음성

iallnet12.tistory.com

1. 현황과 논란의 배경

정부는 2023년 완화됐던 대주주 기준을 다시 강화하려 하고 있습니다. 종목당 보유액이 10억 원 이상이면 대주주로 간주해 양도차익에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방안입니다.
이 발표 직후 증시는 큰 폭의 조정을 받았고, 투자자 사이에서는 불만이 확산됐습니다. 특히 연말 매도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시장 신뢰가 흔들린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찬성 측 논거 – 조세 형평성과 세입 기반
찬성 측 논거 – 조세 형평성과 세입 기반

2. 찬성 측 논거 – 조세 형평성과 세입 기반

첫째, 조세 형평성 회복입니다. 해외 주요국 상당수는 개인 투자자의 양도차익에도 과세하며, 한국도 예외일 수 없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둘째, 세입 기반 확충입니다. 대주주 기준을 강화하면 향후 5년간 약 1조 원의 추가 세수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이는 복지와 공공사업 재원 마련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주식 투자 이익이 거대한 자본에 집중되는 만큼, 세금 부과를 통해 사회 전체에 이익을 환원하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주식 투자 이익이 거대한 자본에 집중
주식 투자 이익이 거대한 자본에 집중

3. 반대 측 논거 – 시장 안정성과 신뢰 문제

반대 측 논거 – 시장 안정성과 신뢰 문제
반대 측 논거 – 시장 안정성과 신뢰 문제

첫째, 연말 매도 폭탄 가능성입니다. 기준 강화가 시행되면 대주주에 해당하는 투자자들이 세금을 피하려고 연말에 대거 주식을 매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가 급락과 시장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둘째, 현실과 맞지 않는 기준이라는 지적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높아진 현실에서, 주식 10억 원 보유자를 ‘대주주’로 보는 것은 사회적 수용성이 낮다는 주장입니다.
셋째, 정책의 잦은 변화가 시장 신뢰를 해친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세제 환경을 원하며,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면 장기 투자 유인이 약해집니다.

균형 잡힌 시각 – 한국 현실에 맞춘 접근
균형 잡힌 시각 – 한국 현실에 맞춘 접근

4. 균형 잡힌 시각 – 한국 현실에 맞춘 접근

이 사안을 풀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 조세 형평성 확보: 모든 투자 소득에 합리적으로 과세하되, 소액 투자자에 대한 배려를 남겨둬야 합니다.
  • 시장 안정성 유지: 급격한 제도 변경보다 단계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단계적·유연한 해법
단계적·유연한 해법

5. 제안 – 단계적·유연한 해법

  1. 단계적 시행
    • 50억 → 30억 → 20억 → 10억 순으로 2~3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하향.
  2. 유예 기간 부여
    • 제도 시행 전 최소 6개월~1년 유예, 시장 적응 기간 확보.
  3. 소액 투자자 보호
    • 장기 보유나 일정 수익 이하에는 세율 인하 또는 비과세 적용.
  4. 시장 모니터링 강화
    • 주가, 거래량, 순매도 추이를 지속 관찰 후 필요 시 보완.
  5. 공론화 과정 투명성
    • 정부·여당·전문가·시민이 참여하는 공개 토론 구조 마련.
반응형

결론

대통령실이 “당 논의를 지켜보겠다”고 한 것은, 단순한 미온적 태도가 아니라 정책 신뢰와 사회적 합의를 중시하는 신중함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조세 형평성과 시장 안정성은 대립하는 가치처럼 보이지만, 단계적 시행과 보호 장치를 병행하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속도전’이 아니라 ‘정확한 방향 설정’입니다.

 

연금 재정 압박 속 기초연금 기준 변경 검증…수급 대상 축소 신호탄?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기준 개편 검토…재정 압박 속 수급 대상 축소 가능성요즘 기초연금을 둘러싼 논의가 뜨겁습니다. 고령화와 함께 늘어나는 연금 지출에 대해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한

iallnet.com

다음편 예고

다음 글에서는 배당소득 분리과세 개편안의 찬반과 시장 영향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728x90

출처

경향신문/한겨레/서울신문/스페셜경제/동아일보/조선일보/KBS 뉴스/한국경제/연합뉴스/이데일리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더보기

The Presidential Office Says “Let the Party Discuss”: Balanced Analysis of Changing the Major Shareholder Capital Gains Tax Threshold

Introduction

The government plans to lower the capital gains tax threshold for major shareholders from KRW 5 billion to KRW 1 billion per stock. The Presidential Office stated it will “let the party discuss” before making changes. This article examines both sides and proposes realistic, balanced solutions for Korea.

Scripture for Today’s Topic

“Let no one seek his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 (1 Corinthians 10:24)

  • This issue is about balancing tax fairness with market stability, focusing on solutions beneficial to all.

1. Background and Controversy

The proposal would roll back a 2023 easing and once again classify holdings over KRW 1 billion in a single stock as “major shareholder” status, subject to capital gains tax.
The announcement rattled markets and drew concerns over potential year-end sell-offs and declining trust.

2. Arguments in Favor – Fairness and Revenue

First, tax fairness: many major economies tax capital gains broadly, and Korea should align with this principle.
Second, revenue: strengthening the threshold could add about KRW 1 trillion in five years, funding public projects and welfare.
Third, redistribution: taxing high-value stock gains helps return wealth to society.

3. Arguments Against – Market and Trust Risks

First, year-end sell-off risk: investors may unload stocks to avoid taxes, increasing volatility.
Second, realism of the threshold: labeling KRW 1 billion holders as major shareholders may not fit today’s economic realities.
Third, trust erosion: frequent policy changes undermine investor confidence and discourage long-term investment.

4. Balanced View – Korea-Specific Considerations

Policy should secure fairness while protecting small investors, and changes should be gradual to minimize shocks.

5. Recommendations – Gradual and Flexible Approach

  1. Phased implementation: reduce the threshold in stages (5b → 3b → 2b → 1b).
  2. Grace period: 6–12 months for market adjustment.
  3. Small investor protection: lower rates or exemptions for long-term or low-profit holdings.
  4. Market monitoring: track key metrics and adjust if disruptions occur.
  5. Transparent public debate: involve government, experts, and citizens.

Conclusion

The Presidential Office’s stance can be seen as prudence, not passivity. With phased changes, safeguards, and transparency, Korea can enhance fairness while preserving stability.

English Keywords

#major_shareholder_tax, #capital_gains_tax, #tax_fairness, #tax_reform, #market_stability, #investor_protection, #presidential_office, #phased_implementation, #grace_period, #financial_policy,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코스피 5,000 시대가 현실이 된다면?-금리 사이클의 끝에서 – 장기채와 성장주, 무엇을 살까?

최근 들어 "코스피 5,000 시대"가 더는 허황된 말이 아니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반도체·2차전지·AI와 같은 고성장 산업이 견인차 역할을 하며,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의 시선도 한국 주식시

iallnet.com

 

[새로운 문학 소식 2025-8-3] 국내외 문학계 뉴스 -Booker Prize 예비 후보·러시아 검열 논란

문학은 현실을 비추고 희망을 품게 하는 거울입니다. 오늘 소개할 소식들은 전 세계에서 펼쳐지는 문학의 움직임을 담고 있으며, 새로운 수상을 앞둔 기대작부터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긴장까

iallnet12.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