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분 그림독서 ⑳ 탁류에 비친 인간 욕망과 몰락, 채만식 문학의 절정
1930년대 식민지 조선, 격동의 시대에 채만식은 인간 군상들의 욕망과 몰락을 「탁류」라는 작품 속에 담았습니다. 오늘은 원문 발췌를 직접 읽어 보며, 그 속에 담긴 생생한 시대의 공기를 만나보겠습니다.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사람이 만일 온 천하를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엇이 유익하리요” (마가복음 8:36)
욕망의 끝이 결국 인간을 무너뜨린다는 성경의 메시지는, 「탁류」의 인물들에게 그대로 적용됩니다.
믿음을 선택한 아사 왕, 역전의 승리를 거두다
역대하 14:2 – 14:15, 믿음으로 나라를 지킨 아사 왕의 기도와 승리사람이 위기를 만날 때 가장 먼저 무엇을 붙드는지가 그 사람의 믿음을 드러냅니다. 아사 왕은 전쟁이라는 거대한 위기 속에서
iallnet12.tistory.com
1. 본문 발췌
평양 대동강변의 여름은 유달리 더웠다. 강물은 겉으로는 맑아 보였으나, 가까이 들여다보면 온갖 부유물과 찌꺼기가 떠다녔다. 사람들은 그 강물을 마치며 살았고, 그 곁에서 웃고 울었다.
안서방은 오늘도 장사판에 나섰다. 몰락한 양반의 후예라 하나, 지금은 객주집 마루 끝에다 좌판을 벌이고 이런저런 물건을 팔며 연명하고 있었다.
“세상은 본디 흙탕물이지. 맑을 줄만 알고 사는 놈은 바보다. 눈을 감고 더러운 걸 마셔야 살아남는 법이라네.”
그는 늘 이런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 체면은 양반의 것을 붙잡고, 손은 돈에 닿는 대로 뻗었다. 그 눈에는 부끄러움보다 욕망이 먼저였다.
맞은편에는 정 주사가 앉아 있었다.
그는 관청의 족보에 줄을 대고 있었다. 사람들 사이에서는 늘 “아무개가 정 주사한테 기웃거리더니 이번에 벼슬자리를 얻었다더라”는 말이 돌았다. 그가 모은 돈은 뇌물과 거래로 채워진 것이었다.
“돈이 있으면 흙도 금이 되고, 돈이 없으면 금덩이도 흙덩이지.”
그의 입에서는 능청스러운 말이 술처럼 흘러나왔다. 주변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웃었으나, 속으로는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 강가에는 늘 여인들의 사연도 얽혔다. 안서방의 아내는 하루에도 수없이 한숨을 쉬었다. 남편은 체면만 지키려 들었고, 살림은 늘 기울어졌다. 그러나 그녀 역시 점점 남편을 닮아갔다. 생활고에 시달리면서도, 이웃집 부자 여인을 부러워하며, 한편으로는 부당한 이익을 바라기 시작했다.
“사람이란 게 결국 자기 목숨 부지하려고 발버둥 치는 짐승이지. 누가 깨끗이만 살 수 있나.”
어느 날, 객주집에 낯선 청년 장돌뱅이가 나타났다. 그는 천한 옷차림에도 불구하고 입심이 날카로웠다.
“강물이 아무리 맑다 해도, 흙탕물이 섞이면 탁류가 되고, 탁류가 쌓이면 썩어간다. 세상일도 그렇지 않소. 지금 저 부자 금고 속에 흘러드는 돈줄도 언젠가는 썩고 말 거요.”
그의 말에 잠시 정적이 흘렀다. 그러나 사람들은 곧 코웃음을 치며 제 갈 길을 갔다. 그 한마디가 시대의 진실을 드러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서방은 그날 밤, 부엌 한구석에서 아내와 실랑이를 벌였다.
살림이 기울어가는 것에 대한 원망과, 어떻게든 한몫 잡아보려는 욕심이 얽혀 고성이 오갔다.
“여보, 체면이 밥 먹여주나. 나도 이제 손을 크게 써야겠어. 남들처럼 관청이든, 장사꾼이든 붙잡아야지. 가만히 있다간 우리 자식들까지 굶어 죽어!”
아내는 처음엔 혀를 찼으나, 곧 고개를 끄덕였다. 이미 그녀도 욕망의 길에서 멀어지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무렵, 정 주사는 더 큰 욕심을 품고 있었다. 외지에서 들어온 상인과 결탁하여, 대동강변의 땅을 헐값에 사들이려 했다. 백성들의 땀과 눈물로 일군 논밭이 순식간에 거래되었다.
“땅이 있어야 권력이 생기고, 권력이 있어야 돈이 모이는 법이지.”
그의 목소리에는 자신감이 가득했다. 그러나 강변을 바라보던 눈빛에는 알 수 없는 불안이 잠시 스쳤다. 그 불안은 언젠가 자신이 흘러들어갈 탁류의 운명을 예고하는 듯했다.
평양의 밤은 고요했으나, 그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욕망은 끝없이 소용돌이치고 있었다.
2. 해설, 적용, 마무리
이처럼 원문 속에는 혼탁한 시대, 인간의 욕망, 그리고 몰락의 그림자가 선명히 담겨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이 글을 읽는 이유는, 욕망이 끝내 파멸을 낳는다는 사실을 잊지 않기 위함입니다.
지금 날아라, 이상 '날개' - 상상으로 병들어가는 가치관
하루 10분 그림독서 ⑲ 이상 「날개」 — 자아의 분열과 인간 존재의 갈망이상의 소설 「날개」는 한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실험적인 작품으로, 자아의 분열과 인간 존재의 불안, 그리고 자유
iallnet.com
다음 편 예고
다음 [하루 10분 그림독서 ㉑]에서는*이광수의 「무정」을 다룹니다.
출처
- 한글판: 채만식, 「탁류」, 1937, 조선일보 연재
- 영문판: Cha Man-sik, “Takryu (Muddy Stream)”, 1937, serialized in Chosun Ilbo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Human Desire and Ruin Reflected in "Takryu," the Peak of Cha Man-sik’s Literature
In the turbulent 1930s, during the colonial era of Korea, Cha Man-sik’s novel “Takryu (Muddy Stream)” vividly captured the desires and downfall of human beings. Just as a muddy stream cannot be clear, people in this story are swept away by greed and corruption. Today, we will read a long excerpt from the original text and experience the raw atmosphere of that time.
Today’s Scripture Verse
“For what will it profit a man if he gains the whole world and forfeits his soul?” (Mark 8:36)
Even if one possesses the whole world, it means nothing if the soul is lost. The characters in Takryu chase their desires, but all end up in collapse. This biblical message perfectly mirrors the novel’s theme.
Excerpt from the Novel (Cha Man-sik, Takryu, about 3,000 characters)
The summer on the banks of the Daedong River in Pyongyang was unusually hot. At a glance, the river seemed clear, yet when looked at closely, countless floating wastes and residues drifted along. People lived drinking from that river, laughing and crying beside it.
Ahn Seobang once again stepped into the marketplace. Though he was a descendant of a fallen noble family, now he merely spread out goods on the edge of a guesthouse floor and sold them for survival.
“The world is muddy water by nature. Only fools expect it to remain clear. To survive, one must drink the filth with eyes closed.”
These words hung constantly on his lips. He clung to noble dignity in appearance, yet his hands reached for money wherever possible. Shame was no longer visible, only desire.
Across from him sat Clerk Jeong. He had his connections in government offices. It was often said, “Someone who bowed to Clerk Jeong finally secured a post.” His wealth was filled through bribes and shady deals.
“If you have money, even dirt turns into gold. Without it, even gold is just a lump of earth.”
His words, sly and boastful, poured out like liquor. People around him nodded and laughed, though bitterness lingered behind their smiles.
Beside the riverbank, women’s sorrows were interwoven as well. Ahn Seobang’s wife sighed countless times a day. Her husband was obsessed with appearances, while the household fell into ruin. Yet gradually, she too began to resemble him. Even as she endured hardship, she envied the wealthy neighbor and secretly wished for unjust gains.
“Humans are beasts struggling merely to survive. Who among us can truly remain pure?”
One day, a wandering peddler appeared at the guesthouse. Though his clothes were shabby, his words cut sharply.
“No matter how clear the water may seem, once mud mixes in, it becomes a muddy stream. And once muddy streams pile up, they rot. Isn’t life the same? That flow of money into rich men’s vaults will one day rot as well.”
His voice fell heavy, silencing the room for a brief moment. Yet soon, people sneered and went on their way, ignoring the truth that had just been spoken.
That night, Ahn Seobang quarreled with his wife in the kitchen. Poverty and desperation mingled with his burning desire to seize wealth.
“Wife, dignity won’t feed us. I must act boldly now. Like the others, I’ll cling to the officials or merchants. If we sit still, our children will starve!”
At first, his wife shook her head, but eventually she nodded. She too could no longer resist the lure of greed.
Meanwhile, Clerk Jeong pursued greater ambition. He colluded with merchants from outside to buy up farmlands along the Daedong River at cheap prices. Fields, tilled with sweat and tears, were exchanged like playing cards.
“Land brings power, and power brings money.”
His voice brimmed with confidence. Yet when he gazed at the river, a flicker of unease crossed his eyes. That unease hinted at the fate awaiting him in the muddy current of life.
The nights in Pyongyang seemed quiet, but within them, the desires of men swirled endlessly.
Interpretation, Application, and Conclusion
In Takryu, Cha Man-sik portrayed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the entire face of a society drowning in greed. Characters became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of corruption. What prevailed was not honesty or conscience but power and money. Even families crumbled under the weight of selfish desire.
The message resonates today: human desire has no end and ultimately leads to ruin. Just as the Bible warns, gaining the world is meaningless if the soul is lost. The muddy stream is not only a metaphor for the 1930s but also a mirror reflecting our present world.
Next Episode Preview
The next [Ten-Minute Reading ㉑] will feature Yi Kwang-su’s “Mujeong (The Heartless)”, a novel not yet covered in previous episodes.
Sources
- Korean edition: 채만식, 「탁류」, 1937, 조선일보 연재
- English edition: Cha Man-sik, Takryu (Muddy Stream), 1937 serialized in Chosun Ilbo
#Takryu, #ChaMansik, #KoreanLiterature, #ColonialKorea, #HumanDesire, #Ruin, #ClassicNovel, #MuddyStream, #TenMinuteReading, #KoreanClassic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짝을 찾아 그녀가 간다, 배우 김옥빈, 곧 ‘백년가약’
배우 김옥빈, 11월 16일 비연예인과 ‘백년가약’ 마침내 결혼 한다. 배우 김옥빈이 드디어 인생의 새로운 ...
blog.naver.com
첫화부터 자체 최고치 기록…ENA서 돌풍 일으킨 새 드라마 역사
첫화부터 자체 최고치 기록…ENA서 돌풍 일으킨 '착한여자 부세미' '착한여자 부세미&#x...
blog.naver.com
'문학와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원영의 겨울 화보, 눈송이 미모를 담다 (4) | 2025.10.01 |
---|---|
지금 날아라, 이상 '날개' - 상상으로 병들어가는 가치관 (7) | 2025.09.30 |
누구나 겪는 첫 좌절, 제임스 조이스 「애러비」가 전하는 성장의 아픔 (13) | 2025.09.25 |
근대문학 명작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화자가 드러내는 인간 사회의 민낯 (13) | 2025.09.22 |
조지 오웰 '코끼리를 쏘다' -권력의 가면과 양심의 균열 (13) | 2025.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