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와 예술

지금 날아라, 이상 '날개' - 상상으로 병들어가는 가치관

아이올렛 2025. 9. 30. 09:04
728x90
반응형

하루 10분 그림독서 ⑲ 이상 「날개」 — 자아의 분열과 인간 존재의 갈망

방안에서 날개를 꿈꾸는 청년
방안에서 날개를 꿈꾸는 청년

이상의 소설 「날개」는 한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실험적인 작품으로, 자아의 분열과 인간 존재의 불안, 그리고 자유에 대한 갈망을 독창적으로 묘사한 작품입니다. 주인공의 독백적 언어는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이었고, 지금 읽어도 인간 내면의 심연을 강렬하게 드러냅니다. 오늘은 「날개」의 주요 부분을 10분 분량으로 발췌해 읽어보고, 이어서 그 의미와 적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그러므로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고린도후서 5:17)

이 말씀은 인간이 새로운 정체성을 발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날개」 속 주인공이 혼란과 분열 속에서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려는 갈망은, 신앙 안에서 옛 자아를 벗고 새 생명을 얻는 경험과도 연결됩니다.

 

권력보다 앞선 하나님의 뜻, 두 왕의 걸음을 통해 배우는 교훈

역대하 13:1 – 14:1 -왕조의 계승 속에서도 드러나는 하나님의 기준과 믿음의 길왕조의 역사는 단순히 인간의 권력 교체가 아니라, 그 안에서 "하나님의 기준" 이 드러나는 장면입니다. 아비야와

iallnet12.tistory.com

 

1. 본문 발췌 

나는 왜 이렇게 사는가. 방안은 늘 음울하게 가라앉아 있었다. 낮에도 불빛은 탁했고, 창밖의 세상은 멀리만 느껴졌다. 나의 아내는 외출이 잦았다. 나는 그녀가 나를 부양한다고 생각했다. 나 자신은 무력하게 침대 위에 누워 있을 뿐이었다.

문턱을 넘지 못하는 주인공
문턱을 넘지 못하는 주인공

“밖에 나가 보아요.”나는 몇 번이고 스스로에게 속삭였다. 그러나 발걸음은 늘 문턱을 넘지 못했다. 문을 열면 세상이 달라질까. 그러나 나에게 세상은 두려움이었다.

 

하루는 아내가 웃으며 말했다.“돈을 벌어오려면 집 밖으로 나가야지요.”그 말은 내게는 조롱처럼 들렸다. 나는 그녀의 웃음을 해석할 수 없었다. 애정인지 냉소인지, 알 수 없는 감정에 얽혀 버렸다.

방안에 갇힌 나는 끝없이 생각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그러나 답은 없었다.

 

어느 날, 나는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았다. 창문으로 들어오는 바람이 어깨를 스쳤다. 순간적으로 벽을 넘어 날아가고 싶은 충동이 일었다. 인간의 몸을 벗어나 새가 되어 날아오르는 상상. 나는 날개를 갈망했다.

 

그러나 나는 침대 위에 무력하게 누워 있었다. 내 몸은 굳어 있었고, 현실은 변하지 않았다. 아내는 다시 외출했다. 나는 그 뒤에 남겨졌다.

“나는 날개가 없다.”이 문장은 내 가슴 깊이 각인되었다. 나는 인간이라는 껍질 속에서 답답하게 갇혀 있었다.

 

며칠 후, 나는 아내와 함께 요정 같은 거리로 나갔다. 그곳에는 화려한 네온사인이 빛났고,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흘러나왔다.

네온 불빛 가득한 거리에서의 이방인
네온 불빛 가득한 거리에서의 이방인

나는 마치 꿈속에 들어온 것 같았다. 그러나 그 화려함 속에서도 나는 이방인이었다. 모든 것이 나와는 동떨어져 있었다.

“여기서는 돈이 필요해요.” 아내가 속삭였다.나는 주머니를 뒤적였으나, 손에 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그 순간 나는 알았다. 나는 이 사회에서 기능하지 못하는 존재라는 것을. 그러나 동시에 내 마음속 깊은 곳에서 ‘날고 싶다’는 강렬한 욕망이 솟구쳤다. 내가 원한 것은 단순히 경제적 기능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적인 자유였다.

 

나는 다시 방으로 돌아왔다. 천장에 매달린 전등이 빛나고 있었다.

천장 불빛을 향해 손을 뻗는 청년
천장 불빛을 향해 손을 뻗는 청년

나는 손을 뻗어 그것을 잡으려 했다. 그러나 닿지 않았다. 내 몸은 무겁고, 나의 의지는 현실을 넘어설 수 없었다.

 

그날 밤, 나는 꿈을 꾸었다. 거대한 날개가 내 등에 돋아났다. 나는 하늘로 솟아올랐다.

꿈속에서 날아오르는 청년
꿈속에서 날아오르는 청년

도시의 불빛 위를 날아다니며, 자유를 만끽했다. 그러나 곧 날개는 꺾였다. 나는 다시 침대 위에 누워 있었다.

“나는 인간이다. 나는 날 수 없다.”그러나 그 절망의 문장 속에서도, 나는 다시 날개를 꿈꾸었다.

다시 침대 위로 돌아온 청년
다시 침대 위로 돌아온 청년

2. 해설과 적용

「날개」는 인간 내면의 분열과 욕망, 그리고 자유에 대한 갈망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작품입니다. 주인공은 무력한 존재로 살아가지만, 끊임없이 새로운 자아와 해방을 꿈꿉니다. 이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내적 갈등을 보여줍니다.

우리가 신앙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된다는 말씀처럼, 인간은 누구나 내적 변화와 회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날개」의 주인공이 꿈꾸었던 자유는, 결국 참된 정체성을 발견할 때 가능한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주어진 현실을 넘어 더 높은 가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교훈을 얻습니다.

반응형

3. 마무리

이상의 「날개」는 짧지만 깊은 울림을 주는 소설입니다. 방안에 갇혀 있던 인물이 날개를 꿈꾸듯, 우리 또한 현실의 제약 속에서 자유와 새로운 자아를 갈망합니다. 그것은 단순한 욕망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갈망입니다.

 

이태준 '달밤' — 순수한 선의와 인간다움의 회복

하루 10분 그림독서 ⑱ 이태준 '달밤' — 순수한 선의와 인간다움의 회복 우리가 살아가며 마주하는 수많은 순간들 가운데, 아주 사소하지만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만남이 있습니다. 누군가에게

iallnet.com

다음편 예고

다음 편 [하루 10분 그림독서 ⑳]에서는 채만식의 「탁류」를 다룰 예정입니다.

728x90

출처

  • 한글판: 이상, 「날개」, 조선중앙일보 연재 (1936)
  • 영문판: Yi Sang, "Wings," serialized in Chosun JoongAng Daily (1936)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더보기

10 Minutes Reading Series ⑲ Yi Sang "Wings" — Division of Self and the Longing for Human Existence

 

Yi Sang’s short story Wings is one of the most experimental work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It vividly portrays the split self, existential anxiety, and the longing for freedom. The protagonist’s monologue, radical for its time, still resonates with readers today by revealing the abyss of the human psyche.

“Bible Verse for Today’s Theme”

“Therefore, if anyone is in Christ, the new creation has come: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2 Corinthians 5:17)

This verse reflects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Just as the protagonist in Wings longs to shed his fragmented self and discover a new existence, faith offers us the renewal of life and the birth of a new self.

 

Excerpt

 

Why do I live like this? The room was always gloomy. Even in daylight, the light was dim, and the outside world felt distant. My wife often went out. I thought she supported me, while I lay helplessly on the bed.

 

“Go outside.”

I whispered to myself many times, but my steps never crossed the threshold. To open the door was to face the world. Yet, the world was terrifying.

One day, my wife smiled and said:
“If you want to make money, you must go outside.”
Her words sounded like mockery to me. I could not tell if her smile was affectionate or cynical.

Trapped in the room, I asked, ‘Who am I? What do I want?’ But no answer came.

Then one day, I looked up at the sky. A breeze brushed my shoulders through the window. Suddenly, I felt an urge to soar beyond the walls, to become a bird. I longed for wings.

Yet, I remained motionless on the bed. My body was heavy, and reality unchanged. My wife left once again. I was left behind.

“I have no wings.”
That sentence etched itself into my soul. I was suffocating in the shell of being human.

Days later, I walked with my wife through a fairy-like street. Neon lights glowed, laughter filled the air. It felt like a dream. Yet, I was still an outsider. Everything was distant from me.

“Here, money is needed,” she whispered.
I searched my pockets but found nothing.

At that moment, I realized I was dysfunctional in this society. Yet deep within, the desire to fly surged. I longed for freedom, not just survival.

Back in my room, I reached toward the glowing lamp on the ceiling. But my hand could not reach it. My body was too heavy, and my will could not transcend reality.

That night, I dreamed. Enormous wings grew on my back. I soared through the skies above the city lights. But soon the wings broke. I awoke again on the bed.

“I am human. I cannot fly.”
Yet even in despair, I dreamed of wings again.

Commentary and Application

Wings symbolizes the inner conflict of human beings—the tension between helplessness and desire for freedom. The protagonist, trapped in a powerless existence, continuously dreams of liberation. This resonates with the struggles of modern individuals.

As the scripture reminds us, becoming a “new creation” allows us to break free from despair and live renewed lives. The wings the protagonist longed for point to the ultimate freedom of discovering true identity and higher purpose.

Conclusion

Yi Sang’s Wings leaves a lasting impression despite its brevity. Like the protagonist dreaming of wings, we too long for liberation from the confines of reality. This is not mere fantasy but a reflection of humanity’s deepest longing.

Next Episode Preview

Next in the [10 Minutes Reading Series ⑳], we will explore Chae Man-sik’s Takhryu (Muddy Stream), a novel not yet covered in this series.

Sources

  • Korean: Yi Sang, 「Wings」, serialized in Chosun JoongAng Daily (1936)
  • English: Yi Sang, Wings, Chosun JoongAng Daily serialization (1936)

 

#wings, #YiSang, #KoreanLiterature, #modernliterature, #selfdivision, #existentialism, #freedomlonging, #literatureexcerpt, #literaryanalysis, #readingessay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재벌가 사위, 배우 박신양 경사를 맞았다.

“재벌가 사위 박신양, 처가 기업 매출 1000억 돌파…연예계와 재계가 주목한 이유” 연예계와 재계의 만남...

blog.naver.com

 

시의원 출마 발표, 60세 한석규 '신사장프로잭트'

60세 한석규, 드라마 ‘신사장프로젝트’에서 시의원 선거 공식 출마 전격 선언 드라마 속 한 장면이 시청...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