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분 그림독서 ⑫ 카프카 변신에 담긴 인간 소외와 존엄성의 붕괴 과정
인간은 사회 속에서 역할을 부여받으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 역할이 사라졌을 때, 과연 남는 것은 무엇일까요? 카프카의 「변신」은 바로 그 질문을 극단적인 상상으로 풀어낸 작품입니다. 아들이 갑자기 벌레로 변하는 사건을 통해, 가족과 사회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존엄을 잃고 소외되는지 처절하게 보여줍니다. 오늘은 이 작품 속 일부를 발췌하여 함께 읽고, 그 의미를 되새겨 보겠습니다.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태복음 25:40)
→ 카프카의 「변신」 속에서 벌레가 된 그레고르는 가족에게 점점 버려집니다. 성경은 사회에서 작고 무가치해 보이는 자를 외면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인간의 존엄은 조건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기 때문입니다.
여호와의 심판이 모든 나라에 드러나며 회개의 길을 열다
스바냐 2:4~15 여호와의 심판이 모든 나라에 드러나며 회개의 길을 열다스바냐 선지자의 메시지는 단순히 유다만을 향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열방을 향해 동일한 경고를 주셨습니다. 인
iallnet12.tistory.com
1. 본문 발췌
카프카, 「변신」
어느 날 아침, 불안한 꿈에서 깨어난 그레고르 잠자는 자신이 거대한 벌레로 변해 있음을 깨달았다. 단단하고 검은 등껍질 같은 몸, 휘청거리는 다리, 꿈틀거리는 배는 모두 인간일 때의 모습과는 달랐다. 그는 천장에 붙은 낡은 벽지를 멍하니 바라보며, 어젯밤까지 영업 사원으로 바쁘게 살던 자신의 삶이 돌이킬 수 없이 사라졌음을 직감했다.
그는 침대에서 일어나려 했지만, 등껍질에 눌린 몸은 도무지 말을 듣지 않았다. 왼쪽으로 몸을 굴려보려 했지만 다리가 허공만 헛돌았고, 오른쪽으로 돌려보아도 균형을 잃고는 툭 하고 제자리로 떨어졌다. 땀이 흘렀다. 시계는 여섯 시 반을 가리키고 있었다. 평소 같으면 이미 첫 기차에 몸을 싣고 지방을 향했을 시간. “큰일이다. 회사에서 난리가 나겠지.” 그는 지각에 대한 두려움에 몸부림쳤다.
“그레고르, 아직 안 일어났니?” 어머니의 목소리가 문 밖에서 들려왔다. 놀란 그는 대답하려 했으나, 입에서는 알아들을 수 없는 끽끽 소리만 흘러나왔다. 자신도 낯설게 들리는 소리에 당황한 그는 다시 목을 가다듬어 말해 보았으나, 여전히 괴상한 소리였다.
잠시 후, 아버지의 무거운 발소리가 다가왔다. “대체 왜 문을 열지 않는 거냐?” 강압적인 말투가 그의 귀를 찔렀다. 이어 어머니는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무슨 일 있니, 제발 대답 좀 해다오.”라며 다급히 두드렸다.
그러던 중, 회사에서 보낸 지배인의 목소리가 들렸다. “잠자 씨, 또 지각입니까? 회사에서 당신의 성실함을 더는 믿을 수 없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레고르는 간신히 문 앞까지 기어가 대답하려 했으나, 기괴한 소리만 새어 나왔다. 지배인은 불쾌하게 몸을 돌리며 중얼거렸다.
결국, 그는 온 힘을 다해 몸을 굴려 문을 열었다. 삐걱 소리와 함께 문이 열리자, 가족과 지배인의 눈앞에 드러난 것은 더 이상 인간이 아닌 흉측한 벌레의 모습이었다. 어머니는 비명을 지르며 뒤로 물러섰고, 아버지는 주먹을 움켜쥐며 얼굴을 일그러뜨렸다. 지배인은 얼굴이 창백해져 급히 도망쳤다.
그날 이후 가족의 태도는 서서히 변했다. 처음에는 누이 그레테가 조심스럽게 음식을 방 안에 두고 나갔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관심마저 줄어들었다. 그의 방은 먼지와 쓰레기로 가득 차기 시작했다. 아버지는 그를 두려워하면서도 분노에 차 있었고, 어머니는 그 광경을 차마 보지 못해 눈을 가렸다.
그레고르는 점점 방 한 구석으로 몰려 들어갔다. 한때는 사랑스러웠던 여동생조차 더 이상 그를 형이라고 부르지 않았다. “우린 이 짐을 언제까지 떠안고 있어야 해?” 그녀의 차가운 목소리는 그레고르의 심장을 더욱 무겁게 짓눌렀다.
어느 날 아버지는 사과를 던져 그레고르의 등에 깊은 상처를 입혔다. 그 상처는 아물지 않았고, 그의 몸은 점점 쇠약해졌다. 가족은 더 이상 그를 바라보지 않았고, 마치 없는 존재처럼 살아갔다. 결국 그는 방 안에서 조용히 죽음을 맞았다.
그의 시신이 치워졌을 때, 가족은 안도했다. 아버지는 등을 펴고, 어머니는 깊은 숨을 내쉬었으며, 누이는 창문을 열고 햇살을 맞았다. 그들의 삶은 다시 평온을 되찾은 듯 보였다. 그러나 그레고르는 끝내 가족에게 기억되지 못한 채 사라졌다.
2. 해설과 적용
카프카의 「변신」은 충격적인 상상 속에 인간 소외의 본질을 담고 있습니다. 그레고르는 벌레가 되었기 때문에 버려진 것이 아닙니다. 사실은 ‘더 이상 돈을 벌 수 없는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무가치한 존재로 취급당한 것입니다.
이 작품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질문합니다. “나는 누군가를 조건에 따라 대하고 있지 않은가? 쓸모가 없다고 여겨지는 순간, 그 사람의 존엄까지 부정하고 있지는 않은가?”
성경의 가르침은 분명합니다. 가장 작은 자, 가장 보잘것없는 자에게 베푼 것이 곧 하나님께 한 것입니다. 인간 존엄은 상황이나 조건에 좌우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사회 속에서 ‘그레고르’와 같은 이들을 기억하고 존중해야 합니다.
3. 마무리
「변신」을 읽으며 불편함과 슬픔을 느끼지만, 그 감정은 우리를 깨우는 울림입니다. 인간 존재는 효율과 기능을 넘어서는, 본질적으로 존엄한 존재임을 다시 기억하게 합니다. 오늘의 10분 독서가 우리로 하여금 주변의 소외된 이웃을 다시 바라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하루 10분 그림독서 ⑪ 루쉰의 외침 – 아큐정전 속 중국의 자화상
루쉰의 외침 – 아큐정전 속 중국의 자화상, 하루 10분 그림독서 ⑪ 짧은 문학 작품이지만 역사를 뒤흔든 울림을 지닌 글들이 있다. 루쉰의 「아큐정전」은 중국 근대 문학의 상징과도 같은 작품
iallnet.com
다음편 예고
다음 「하루 10분 그림독서 ⑬」에서는 오 헨리의 단편 「마지막 잎새」 – 희망을 끝까지 지켜낸 한 화가의 이야기를 함께 읽습니다. 따뜻하고 감동적인 결말 속에서 삶의 용기를 찾아보겠습니다.
출처
- 프란츠 카프카, 「변신」, 여러 판본을 바탕으로 한 발췌 번역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10-Minute Illustrated Reading ⑫ Kafka’s Metamorphosis – The Collapse of Human Dignity Through Alienation
Human beings live by the roles society assigns them. But when those roles are stripped away, what remains? Kafka’s Metamorphosis explores this haunting question. The shocking transformation of a son into an insect becomes a metaphor for alienation, loss of dignity, and the fragility of human connection.
Bible Verse for Today’s Theme
“Truly I tell you,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Matthew 25:40)
→ Just as Gregor in Metamorphosis is abandoned by his family, the Bible urges us to never ignore the “least of these.” Human dignity is a divine gift, not a social condition.
Extract
Franz Kafka, The Metamorphosis (excerpted and translated)
One morning, as Gregor Samsa awoke from uneasy dreams, he discovered that he had been transformed into a gigantic insect. Lying on his back as hard as armor, he could see his dome-like belly, divided into stiff segments, rising and falling under the bedsheet. His many legs, pitifully thin compared to the rest of his bulk, flickered helplessly before his eyes.
“What has happened to me?” he thought, staring at the faded wallpaper on the ceiling. Just last night he had been a traveling salesman, rushing from train to train, worrying about sales figures, and now—this. He tried to roll onto his side, as he had often done in sleep, but the heavy carapace pressed him down, and when he lifted his head, his body rocked helplessly. He attempted again and again, sweat dripping, while the alarm clock ticked mercilessly beside him. It was already half past six; by now he should have been on the train to work.
A knock came at the door. “Gregor, are you not up yet?” his mother’s anxious voice asked. Gregor opened his mouth to answer, but what came out was a strange, squeaking noise, not human speech. Shocked, he tried again, but the sound remained grotesque. His father’s heavy steps approached. “Why don’t you open this door?” came the stern voice, filled with suspicion. His sister’s softer tone followed, “Gregor, are you ill? Please say something.”
Then another voice intruded—sharp and officious. It was the chief clerk, sent from his company. “Mr. Samsa, your absence has been noted. Your performance has been under review, and excuses will not suffice. Open at once.” Gregor dragged himself toward the door, desperate to explain, but all that issued forth was that same incomprehensible sound. The clerk recoiled in disgust.
Summoning all his strength, Gregor rocked himself forward, unlocked the door with trembling mandibles, and swung it open. There he stood, revealed in his monstrous form. His mother screamed and collapsed back, his father clenched his fists in rage and horror, and the chief clerk staggered backward, pale, nearly fainting.
From that day forward, the family began to change. At first, his sister Grete brought him food, whispering comfort though averting her eyes. But soon her visits grew shorter, her tone colder. The room filled with dust and rubbish; the door was often left closed for hours. His father treated him with dread and fury, while his mother could hardly bear to look. Gregor shrank into the dark corners, listening to the life of the family continue without him.
His sister finally said what all had thought: “We cannot go on like this. He is not my brother anymore. He is a burden.” The words pierced deeper than any wound. One evening, his father hurled an apple at him; it struck his back and lodged deep, festering until his strength waned.
Gregor lay silent, his breathing shallow, his limbs too weak to move. His family no longer checked on him. And then, one morning, he died quietly in his room.
When the body was removed, the family felt an unfamiliar relief. The father straightened his posture, the mother sighed deeply, and Grete walked to the window, stretching as the sunlight poured in. They spoke of moving to a new apartment, of a fresh start, as if Gregor had never bee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Kafka’s story is not simply about a man turning into an insect. It is about a person discarded when no longer “useful.” Even today, society often measures human worth by productivity or function. But dignity does not vanish when efficiency fades.
“Are we also judging others by conditions? Are we rejecting people when they no longer serve our needs?”
The Bible reminds us that honoring the least among us is to honor God Himself. This work, though unsettling, forces us to reexamine how we treat those on the margins.
Conclusion
Reading Metamorphosis may bring discomfort, but that discomfort is the key to awakening. It reveals that dignity is not earned by usefulness but inherent in our humanity. May today’s 10-minute reading help us see and embrace the “Gregors” around us.
Sources
- Franz Kafka, The Metamorphosis (based on multiple editions, excerpted and translated)
#Kafka, #Metamorphosis, #Alienation, #Dignity, #FamilyConflict, #LiteratureAnalysis, #ModernSociety, #ClassicLiterature, #ReadingSeries, #10MinuteReading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사랑이 뭐길래 4회 – 헤어지자는 지은, 상처 입은 대발의 침묵
사랑이 뭐길래 4회 – 흔들리는 권위, 아들의 반란 90년대 한국 사회를 대표하는 가족 드라마 “사랑이 뭐...
blog.naver.com
도약을 준비하는 이재명 정부, 취임 100일과 미래 4년9개월 비젼
도약을 준비하는 이재명 정부, 취임 100일과 미래 4년9개월 비전 취임 100일을 맞이한 이재명 대통령은 이...
blog.naver.com
'문학와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10분 그림독서 ⑪ 루쉰의 외침 – 아큐정전 속 중국의 자화상 (17) | 2025.09.10 |
---|---|
하루 10분 그림독서 10, 크리스마스 아침을 따뜻하게 채운 오 헨리의 단편 이야기 (16) | 2025.09.08 |
평범한 일상에 스며든 낯선 사랑 – 체호프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분석 (19) | 2025.09.05 |
하루 10분 그림독서 ⑧, 황순원 '소나기' 첫사랑의 빗속 기억 (25) | 2025.09.04 |
하루 10분 그림독서 ⑦ 김훈 『칼의 노래』 – 침묵 속에 울려 퍼지는 전쟁의 기억 (21)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