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7년 만에 감 수출 재개…“거대 시장 중국의 문이 열렸다”
![한국산 감 중국 수출 양해각서 체결 [사진출처 = 연합뉴스]](https://blog.kakaocdn.net/dna/787Gh/dJMcacg7aYC/AAAAAAAAAAAAAAAAAAAAAH4Yvm8FUjTcVI3P5jBmz6AD9pGwZDKcQjaMRSL-shjn/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SgutGJQdv%2BDwZIOQsG8v8Lv7vvs%3D)
한국의 대표적인 가을 과일, 감이 마침내 17년 만에 중국 땅을 밟게 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 이어진 협상 교착 끝에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검역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것이다. 이번 합의는 단순한 수출 재개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농가의 소득 증대와 국가 브랜드 가치 향상, 그리고 농산물 외교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한국산 감 중국 수출 양해각서 체결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https://blog.kakaocdn.net/dna/d9rDFG/dJMcaezeDoK/AAAAAAAAAAAAAAAAAAAAAAmId0kOUvA_IlTIch6nIXnh8N5CgQ-doFATVmsULjTT/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Vmzykne2iGUT91jBdPG31ADbW1c%3D)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너의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 (욥기 8:7, KRV)
작은 시작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결국 큰 결실로 이어진다는 말씀이다. 17년간의 기다림 끝에 열린 감 수출 재개는 바로 이 진리를 보여주는 실례이다.
에스라 5장 성전 재건 재시동, 학개·스가랴 “선지자 음성”, 스룹바벨·예수아가 어떻게 다시
에스라 5장 성전 재건 재시동, 학개·스가랴 “선지자 음성”, 스룹바벨·예수아가 어떻게 다시 세웠나?하나님께서 멈춰 있던 역사를 다시 움직이시는 순간이 있습니다.사람들은 두려움과 압박
iallnet12.tistory.com
1. 17년의 기다림, 그리고 결실
2008년 첫 수출 요청 이후 감 농가와 정부는 끈질기게 협상을 이어왔다. 그러나 병해충에 대한 중국 측의 우려와 까다로운 검역 조건으로 인해 수년간 진전이 없었다. 그 사이 국내 감 산업은 수출 다변화의 기회를 잃었고, 많은 농가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모든 문이 열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협상이 단순한 통상 이슈를 넘어 “농업의 신뢰를 회복한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산 감 중국 수출 양해각서 체결 [사진 출처 =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blog.kakaocdn.net/dna/bmmUJj/dJMb99SeeSX/AAAAAAAAAAAAAAAAAAAAAL9pfe_Barrj8HMsV8d3yV3PQQcab2joTldarqDr-Maq/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vlYK9PZ9bq8vvkP5T8aXATMwU8E%3D)
2. 까다로운 검역 기준, 신뢰로 넘다
이번 협상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것은 병해충 검역 문제였다. 한국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다년간 과학적 데이터를 제시하며 병해충 위험이 없음을 증명했고, 중국은 이를 신뢰했다. 이제 수출을 위해서는 감 과수원과 선과장 등록, 병해충 예찰, 수출식물검역증 발급 등 철저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런 체계적인 검역 시스템은 향후 다른 농산물 수출의 신뢰 기반이 될 것이다. 즉, 이번 협상은 ‘감 수출’이라는 한 품목의 성공을 넘어, 한국 농산물의 품질관리 역량을 세계에 입증한 사건이기도 하다.
![한국산 감 중국 수출 양해각서 체결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blog.kakaocdn.net/dna/bv5e4W/dJMcaiPaD1U/AAAAAAAAAAAAAAAAAAAAAEGab1YYLwz5iV4Fx-pILLVt6pRhWweISOAsxW7NA7Qx/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QufcQfi%2F%2FLb%2BejP%2BeEKphyZuhbk%3D)
3. 농가에 돌아올 실질적 혜택
한국단감연합회는 이번 합의 소식에 “17년의 기다림이 헛되지 않았다”고 환호했다. 그들은 수출이 재개되면 단순한 수익 향상을 넘어, 농가 경영의 안정성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제 농가가 수출 준비를 잘 갖춘다면 실제 수익이 돌아올 것”이라며 “교육과 수출기반 조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4. 글로벌 마케팅으로 확장되는 K-농산물
이번 감 수출 재개는 한국 농식품의 글로벌화 전략과도 맞물린다. 이미 임산물 분야에서는 SNS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현지 체험단 운영 등 디지털 마케팅이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해 임산물 수출액은 4억 3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건강한 먹거리와 한류 열풍이 결합되며 한국 농식품은 이제 ‘브랜드’로서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감 수출 역시 단순한 무역이 아니라, ‘K-농산물’이 세계로 확장되는 발판이 될 것이다.
마무리
17년의 기다림 끝에 열린 이번 성과는 인내와 신뢰, 그리고 꾸준한 협력의 결과다. 한국의 감이 중국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는 순간, 그것은 한 농산물의 수출을 넘어 대한민국 농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다시 인정받는 순간이 될 것이다. 작은 시작이지만, 그 끝은 반드시 창대하리라는 믿음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1992년 명곡이 다시 깨어나다… 미유가 부른 ‘내가 아줌마가 되어도’, 원곡보다 더 감성적
미유, 日 리메이크곡 ‘내가 아줌마가 되어도’로 돌아오다서른을 넘어선 뮤직 씬에 다시금 청량함을 불어넣는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가수 미유가 세대를 넘어 사랑받아온 일본 명곡 私がオバ
iallnet.com
출처
리포테라 구민아 기자 글, 사진 인용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 산림청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Korean Persimmons Return to China After 17 Years – “A Door to the Giant Market Finally Opens”
Korean persimmons, one of the nation’s signature autumn fruits, will finally make their way to China after a long 17-year hiatus. The long-stalled negotiations have come to fruition through a recent Korea-China summit, signaling not only the reopening of trade but also the dawn of a new era for Korean agriculture on the global stage.
"Bible Verse for Today"
“Though your beginning was small, your latter days will be very great.” (Job 8:7, ESV)
Even a humble start, when pursued with faith and perseverance, can yield a great harvest. The reopening of persimmon exports after 17 years embodies this timeless biblical truth.
1. The Fruit of Seventeen Years of Patience
The journey began in 2008 when Korea first requested export approval. Years of stalled talks and unresolved pest concerns delayed progress, leaving farmers frustrated. However, the recent MOU signed by President Lee Jae-myung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finally opened the doo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called it “a historic milestone that restored international trust in Korean agriculture.”
2. Overcoming Strict Quarantine Barriers
China’s stringent quarantine rules had been the main obstacle. The Korean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provided years of scientific data proving the safety of the fruit, which built confidence with China. Now, exports will proceed only from certified orchards and packaging facilities under strict pest monitoring and inspection systems. This achievement sets a new standard of credibility for future Korean agri-exports.
3. Tangible Benefits for Local Farmers
The Korean Persimmon Association celebrated the agreement as “a long-awaited victory.” Farmers expect not only financial gains but also greater stability and regional revitalization. Agriculture Minister Song Mi-ryeong promised practical support for education and export infrastructure to ensure the benefits reach the farms themselves.
4. Expanding Global Reach of K-Agriculture
The persimmon export deal aligns with Korea’s broader agricultural globalization strategy. Korean forest products have already shown strong performance through social media influencer marketing and local engagement campaigns. With rising global demand for healthy foods and the growing “K-wave,” Korean produce is becoming a trusted international brand. The persimmon agreement is another step in that journey.
Conclusion
This success marks the triumph of patience, science, and mutual trust. As Korean persimmons enter Chinese markets once again, they represent more than fruit exports—they symbolize Korea’s agricultural resilience and the promise of a flourishing global future. Truly, the small beginning has become great.
Source
Reportera, Yonhap News,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Forest Service
#KoreanPersimmons, #ChinaExport, #Agriculture, #KFood, #TradeAgreement, #FarmersIncome, #KoreanAgriculture, #ExportRevival, #QuarantineDeal, #GlobalMarket,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흥민이 형 없으면 나라도” 토트넘 수비수 판더펜 70m 골, 푸스카스상급인가?
손흥민 원더골의 재현 – 판더펜의 70m 질주가 전한 열정의 메시지 축구는 때때로 한 장면이 모든 감정을 ...
blog.naver.com
장원영 가죽+실버 디테일로 압도… 아이브 서울 3일 콘서트 성황, 월드투어 기대가 커진 까닭은?
장원영, 서울 콘서트 3일 내내 빛난 미모와 진심 – IVE 월드투어의 완벽한 시작 그룹 아이브(IVE)의...
blog.naver.com
'뉴스 및 속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득 없는 4인가구 월 208만 원 지원, 지역화폐 사업 1.1조 원 배정 – 이재명표 민생 예산의 방향 (5) | 2025.11.05 |
|---|---|
| 고석현, UFC 2연승으로 증명한 진짜 실력 – ‘바닥 청소’ 시킨 압도적 그래플링의 비밀 (6) | 2025.11.02 |
| 이창욱, 2025 슈퍼레이스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 첫 챔피언 등극 –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의 주인공 (9) | 2025.11.02 |
| 안세영 초대기록, BWF가 감탄한 이유 – 린단·리총웨이도 못한 업적의 주인공 (4) | 2025.11.01 |
| 장동혁 보석 허가 사건, 판사 출신 변호사 ‘억대 뒷돈·골프 모임 청탁’ 드러난 법조 비리의 실체 (3)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