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G20 남아공·UAE·이집트·튀르키예 순방, 한국 외교·경제 지형을 바꿀까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시기에 한국 대통령이 중동과 아프리카, 유럽을 잇는 4개국을 연속 방문한다는 것은 단순한 출장 일정이 아닙니다.
이번 이재명 대통령의 7박 10일 순방은 G20 정상회의 참석과 함께 방산·에너지·인프라·K-컬처까지 아우르는 종합 외교 무대가 될 전망입니다.
특히 UAE·이집트·남아공·튀르키예는 모두 에너지, 물류, 안보, 신흥시장 전략의 핵심 축에 놓인 국가들이기에, 이번 일정은 ‘한국의 다음 10년’을 준비하는 시험대에 가깝습니다.
우리는 이 순방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고, 한국 사회와 교회는 무엇을 위해 기도해야 할지 함께 정리해 보려 합니다.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 (디모데전서 2:2)
정치 지도자를 위한 기도는 특정 진영을 향한 응원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시민이 평안하고 공정한 사회를 누리기 위한 영적 책임이라는 점을 다시 떠올리게 하는 말씀입니다.
에스라 10:9–10:44 회개는 눈물이 아니라 행동이다 – 뜨거운 비 속에서 드러난 진짜 순종
에스라(Ezra) 10:9–10:44 "회개는 눈물이 아니라 행동이다 – 뜨거운 비 속에서 드러난 진짜 순종"예루살렘 성전 광장에는 큰비가 퍼붓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흩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들
iallnet12.tistory.com
7박 10일, 중동과 아프리카를 잇는 대장정
이재명 대통령은 17일부터 UAE,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튀르키예를 차례로 방문하는 7박 10일 일정에 들어갑니다.
UAE에서는 국빈방문, 이집트에서는 공식방문, 남아공에서는 G20 정상회의, 마지막으로 튀르키예에서는 다시 국빈방문 형식으로 일정을 소화합니다.
이 네 나라는 지리적으로도 흩어져 있지만, 하나의 큰 축으로 보면 에너지·해상 물류·광물 자원·방산 협력의 교차 지점에 서 있습니다.
한국 입장에서는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방산·인프라 수출을 확대하며, K-컬처와 첨단 산업을 함께 묶어 ‘패키지 외교’를 시도할 수 있는 무대입니다.
아프리카 첫 G20, 남아공에서 펼쳐질 의제들
이번 G20 정상회의는 G20 역사상 처음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열립니다.
주제는 "연대·평등·지속가능성으로, 이재명 대통령은 세 차례 세션에 참여해 각기 다른 의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22일 1세션에서는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 지속 가능한 성장"을 주제로 경제 성장과 개발 협력, 취약국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됩니다.
여기서 한국은 성장 경험과 개발 협력 노하우를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인프라·교육 분야에서 기여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같은 날 열리는 2세션에서는 "회복력 있는 체계"에 초점을 맞춥니다.
기후위기, 자연재해, 감염병 등 예측하기 어려운 충격 속에서도 버틸 수 있는 경제·사회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핵심 주제입니다.
23일 열리는 3세션에서는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를 다룹니다.
혁신 광물 공급망, 인공지능 윤리와 활용,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주요 화두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 배터리·반도체·AI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과 산업 기반을 토대로,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논의에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UAE·이집트·튀르키예, ‘중동 핵심 3개국’의 의미
이번 일정에서 G20만큼 중요한 축은 중동 핵심 3개국인 UAE, 이집트, 튀르키예와의 양자 외교입니다.
UAE는 에너지와 방산·투자 협력이 이미 활발한 국가입니다.
원전·수소에너지·재생에너지 협력과 함께, K-방산과 금융·첨단 산업 투자를 연계하는 논의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를 중심으로 유럽·아프리카·중동을 잇는 물류 요충지입니다.
인프라, 스마트시티, 교통망, 그리고 K-컬처·교육 협력이 결합된다면, 한국 기업들에게는 아프리카와 유럽을 동시에 향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튀르키예는 NATO 회원국이자 유럽과 중동을 잇는 전략 요충지입니다.
방산 협력, 재건·인프라 프로젝트, 문화·관광 협력 등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파트너로, 한국전쟁 참전국이라는 역사적 인연도 있다는 점에서 감성·정서적 연결 자산도 적지 않습니다.
방산·K-컬처·AI까지, 종합 외교의 시험무대
이번 순방은 단순한 정상회의 참석이 아니라, 한국이 가진 여러 ‘강점 패키지’를 한 번에 보여줄 수 있는 무대입니다.
방산 분야에서는 이미 여러 국가에서 한국 무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이번 일정에서 방산 협력은 단순 수출 계약을 넘어서, 교육·훈련·정비·기술 협력까지 포함한 중장기 파트너십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K-컬처는 공연·콘텐츠 수출을 넘어, 관광·교육·브랜드 산업으로 확산되는 흐름을 타고 있습니다.
정상 외교 일정 속 문화 교류 행사는 상대국 국민에게 한국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소프트 파워 외교’의 장이 됩니다.
또한 G20 의제에는 혁신 광물과 인공지능, 양질의 일자리 창출 같은 미래 산업 요소가 포함돼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전환, 신산업 전략, 청년 일자리 정책도 이런 글로벌 논의와 연결되어 방향성을 점검받게 됩니다.
숨가빴던 1년 차 다자외교의 마무리
이번 G20 참석을 끝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올해 다자외교 일정은 사실상 마무리됩니다.
취임 직후 G7 정상회의 참석을 시작으로, 유엔 총회, 아세안 회의, APEC 정상회의 주재까지 굵직한 국제무대가 이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중견국’이 아닌, 여러 의제에서 해결책을 제안하는 ‘기여국’ 이미지에 한 걸음 더 다가가려 했습니다.
이번 G20과 4개국 순방은 그 흐름의 연장선에서, 한국이 평화·번영·문화의 관점에서 어떤 역할을 자임할지 보여주는 무대가 될 것입니다.
K방산의 미래를 여는 KF-21, 뜨거운 관심 속에서도 남은 과제들
K방산의 미래를 여는 KF-21, 뜨거운 관심 속에서도 남은 과제들KF-21은 최근 국내외에서 가장 주목받는 K방산의 핵심 전투기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ADEX를 기점으로 여러 국가의 군 관계자들이 직접
iallnet.com
출처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이재명 대통령, 17일부터 UAE·이집트·남아공·튀르키예 순방」
대통령실 브리핑 및 공개 발언 내용 종합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President Lee Jae-myung’s G20 and Middle East–Africa Tour: Can This Trip Redraw Korea’s Diplomatic and Economic Map?
![President Lee Jae-myung and First Lady Kim Hye-kyung arrive at Seoul Air Base in Seongnam, Gyeonggi Province, on the 26th to board Air Force One as they depart for Kuala Lumpur, Malaysia, to attend the ASEAN Summit. [Photo = Newsis, Ko Beom-jun]](https://blog.kakaocdn.net/dna/dtuggt/dJMcabo2dH5/AAAAAAAAAAAAAAAAAAAAAPOp7PgA_1gtns1QwRxXMlxrkpG5BbMdPjCSlxLix0ah/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I32%2FTMdTAmRzgsajAGlbdxM%2Bl%2BY%3D)
In a time of rapid geopolitical change, a state visit that connects the Middle East, Africa, and Europe is far more than a routine overseas schedule.
President Lee Jae-myung’s 10-day trip to the UAE, Egypt, South Africa, and Türkiye is expected to become a comprehensive diplomatic stage that spans the G20 Summit, defense cooperation, energy, infrastructure, and K-culture.
These four nations sit at the crossroads of energy security, maritime logistics, strategic minerals, and emerging markets, making this tour a kind of “test bed” for Korea’s next decade.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what this trip could mean for Korea and what the church and people of faith might pray for during this season.
1. A 10-Day Journey Linking the Middle East and Africa
From the 17th, President Lee will embark on a 10-day tour of four countries: the UAE, Egypt, South Africa, and Türkiye.
He will pay a state visit to the UAE, make an official visit to Egypt, attend the G20 Summit in South Africa, and then move on to a state visit to Türkiye.
Though these nations are geographically scattered, they form a strategic axis around energy, logistics, defense cooperation, and emerging markets.
For Korea, this trip offers a chance to strengthen energy security, expand defense and infrastructure exports, and package K-culture with advanced industries in one comprehensive diplomatic push.
2. The First G20 Summit in Africa and Key Agendas
This year’s G20 Summit, held for the first time on African soil, carries symbolic and practical weight.
Its overarching theme is "Solidarity, Equality, and Sustainability", and President Lee will participate in three key sessions.
In Session 1 on the 22nd, the focus will be "Inclusive and Sustainable Growth That Leaves No One Behind".
Korea can share its own experience of rapid development and development cooperation, proposing models in areas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Session 2 on the same day will center on "Resilient Systems".
The discussion will address how to build economic and social systems that can withstand shocks from climate change, disasters, and pandemics.
On the 23rd, Session 3 will look toward "A Fair Future for All".
Here, the agenda includes critical mineral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reation of decent jobs.
With its strengths in batteries, semiconductors, and AI, Korea is in a position to take an active role in shaping a fair and sustainable global supply chain.
3. Why the Middle East “Core 3” – UAE, Egypt, and Türkiye – Matter
Alongside the G20, bilateral diplomacy with the Middle East “core three” – the UAE, Egypt, and Türkiye – is just as important.
The UAE is already a key partner in energy, defense, and investment.
Talks are expected to deepen cooperation on nuclear power, hydrogen and renewable energy, while linking K-defense, finance, and high-tech sectors.
Egypt, home to the Suez Canal, is a logistics hub that bridges Europe, Africa, and the Middle East.
If infrastructure, smart cities, and transport projects can be combined with K-culture and education, the country could serve as a forward base for Korean businesses targeting both Africa and Europe.
Türkiye is a NATO member and a strategic bridge between Europe and the Middle East.
Defense cooperation, reconstruction and infrastructure projects, and cultural and tourism exchanges could create significant synergy, especially given the emotional and historical connection formed during the Korean War.
4. From Defense to K-Culture and AI: A Comprehensive Test for Korean Diplomacy
This tour is not just about attending a summit; it is a test of Korea’s ability to present its strengths as one integrated package.
In defense, interest in Korean weapons systems is already high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is trip could move discussions beyond simple export contracts to long-term partnerships that include training, maintena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K-culture, meanwhile, is expanding from entertainment and concerts to tourism, education, and brand industries.
Cultural events held alongside summit meetings can serve as a soft-power platform to deepen public affection for Korea in each host country.
In addition, the G20 agenda touches on critical minerals, AI, and job creation.
The Lee administration’s policies on digital transformation, new industries, and youth employment will be measured against the direction of these global debates, offering a chance to refine Korea’s long-term strategy.
5. Wrapping Up an Intense Year of Multilateral Diplomacy
With this G20 meeting, President Lee’s year of high-intensity multilateral diplomacy is effectively coming to a close.
From the G7 Summit shortly after his inauguration to the UN General Assembly, the ASEAN Summit, and chairing APEC in Gyeongju, Korea has been active on multiple global stages.
Throughout these events, Korea has sought to move from being a “middle power” to becoming a problem-solving “contributor” on key global issues.
This G20 Summit and four-country tour continue that trajectory, showing how Korea understands its role in peace, prosperity, and culture.
Conclusion: What We Should Watch and Pray For
Scripture urges us to pray for those in authority.
This does not mean we must agree with every policy; it means we ask that God grant wisdom, justice, and humility to leaders whose decisions shape the daily lives of many.
We can pray that President Lee’s visits to the UAE, Egypt, South Africa, and Türkiye, along with his participation in the G20,
will open new doors for Korea’s economy and help our nation become a responsible, trustworthy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same time, we should hope that the focus will not rest only on diplomatic headlines, but also on vulnerable people at home, the climate crisis, and the challenge of creating meaningful jobs.
Our most realistic form of participation may be to stay informed, discern wisely between praise and criticism, and consistently pray for those who lead.
If we do so, this tour can become more than a single high-profile event; it can become a found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LeeJaemyung, #G20SouthAfrica, #UAEstatevisit, #Egyptofficialvisit, #TurkiyeKorea, #Koreandefenseexports, #Kculturediplomacy, #criticalmineralsAI, #Koreaforeignpolicy, #inclusivegrowth,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대장동·검란 후폭풍 속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올라가, APEC 성과가 살린 진짜 이유는?
대장동 논란 이어져도 왜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은 고공행진”일까? – 여론 흐름의 진짜 이유 정치 이슈...
blog.naver.com
무명 시절만 10년, 전여빈이 부세미 1롤 주연까지 올라선 진짜 이유가 궁금하지 않나요?
전여빈, “맹목적 믿음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10년 무명 끝에 얻은 첫 1롤 주연 이야기 배우 전여빈은 ...
blog.naver.com
'뉴스 및 속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방산의 미래를 여는 KF-21, 뜨거운 관심 속에서도 남은 과제들 (2) | 2025.11.16 |
|---|---|
| 부산 돌려차기 피해자 근황, 또다시 드러난 ‘2차 공포’…왜 그녀는 법정에서 울먹였나 (5) | 2025.11.14 |
|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 이재명 대통령 ‘무늬만 지방자치 안 돼’ 발언의 의미와 향후 변화 (6) | 2025.11.13 |
| 이강인·조규성까지 모였다, 볼리비아전 앞둔 ‘완전체’ 홍명보호에 거는 기대 (5) | 2025.11.13 |
| ‘암표 팔다 걸리면 30배 과징금’…이재명 대통령 “신고자 포상도 추진" (6) | 2025.11.12 |


